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업분석] 삼성전자 목표 주가 배당 전망 기업 정보 및 개요 반도체 관련 테마주 분석
    2 2021. 3. 28. 22:37
    반응형

    1. 삼성전자 기업 개요

    삼성전자는 한국 및 CE, IM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Harman 등 24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이다. 

    삼성전자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이 있다.

    현재 삼성전자에서는 부품사업(DS부문)에서는 D램, 낸드 플래쉬,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으로 구성된다.

     

    현재 삼성전자는 우상향 곡선을 그리다가 한달 가량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최고가 96,800원에서 현재 81,500원에 마감하였다.

     

    현재 투자의견은 매수이며 신중히 결정 하는 것이 좋다.

     

    2. 삼성전자 기업 현황 및 전망

    개요

    - 삼성전자의 사업부문은 CE(TV, 모니터, 에어컨, 냉장고 등), IM(휴대폰, 통신 시스템, 컴퓨터), DS(메모리 반도체, 시스템LSI), Harman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IT기업으로, 동사와 삼성물산, 삼성에스디아이 등 상장 16개사, 비상장 43개사의 계열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 그리고 TV, 스마트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부문 등에서 글로벌 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한바 양호한 사업 포트폴리오로 안정적 이익창출력 확보하고 있다.

    현재는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점유율 1위 업체이다.

    현황

    - 현재 삼성전자는 휴대폰 및 디스플레이 부문, 하만 부문이 부진하였으나, 반도체 부문이 호조를 보인 가운데 CE 부문 매출도 견조하게 이어지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다소 증가하였다.

     
    - 그리고 디스플레이 부문 수익성 저하와 하만 부문 적자에도 CE, IM, 반도체 부문의 수익성이 모두 개선되며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및 순이익률 상승, 안정적 수익구조 보이고 있다.

     
    - 또한,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와 화웨이 반사이익으로 스마트폰 판매 증가, 5G 확대와 DDR5 전환 등으로 반도체 판매 호조 지속되며 성장세 이어질 듯 보인다.

     

    3. 재무요약 및 주요 주주 현황

    삼성전자 재무요약

     

    삼성전자 지분비율별 주주현황

    4. 삼성전자의 사업내용 

     

    삼성전자는 한국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과 CE, IM 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 및 DS 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및 판매법인, Harman 산하 종속기업 등 241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 기업입니다.

     

    먼저 삼성전자의 사업군별로 보면, Set(세트) 사업군에서는 TV를 비롯하여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을 생산 및판매 하는 CE(Consumer Electronics) 부문과 HHP(스마트폰 등),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IM(Information technology & Mobile communications) 부문이 있습니다.

     

    그리고 부품 사업군에서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반도체 사업과 모바일 및 TV 그리고 모니터, 노트북 PC용 등의 OLED 및 TFT-LC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DP 사업의 DS(Device Solutions)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2017년에 인수한 Harman 부문에서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 텔레매틱스(Telematics), 스피커 등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의 영업 개황을 보자면 2006년 이후 2020년까지 15년 연속으로 TV 판매 1위를 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삼성전자는 2017년 'QLED TV'라는 신규 카테고리를 창출하여 어떤 밝기 영역에서나 정확한 컬러를 표현할 수 있는 궁극의 화질을 을 볼 수 있는 TV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8K TV를 공개하였습니다.

     

    그리고 IT부문에서 삼성전자는 휴대폰 분야에서 세계1위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태블릿, 웨어러블, 액세서리 등 제품들을 생산 및 판매 하고 있습니다. 또 이러한 제품들은 Samsung Pay, Samsung Health, SmartThings 등의 실용적이고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마트폰 외에도 TV, 냉장고, 에어컨 등 다양한 제품군에 Bixby를 적용하여 고객이 어느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일관된 서비스 Multi Device Experienc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 스마트폰 시장은 5G 시장의 고성장 등으로 2020년 13.0억대에서 2021년 14.7억대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태블릿 시장은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과 재택근무의 확산에 따라 2019년 1.6억대에서 2020년 1.9억대까지 확대되었으나, 2021년에는 1.7억대 수준으로 전망됩니다.

     

    또 2020년 메모리 시장은 코로나19(COVID-19)의 세계적 유행 및 미,중 간 무역분쟁 등으로 인한 불확실한 시황 속에서, 상반기에는 Cloud 서비스 확대로 인한 서버용 수요가, 하반기에는 비대면 수요 급증과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인한 모바일과 PC용 수요가 확대되는 등 시장 변동성이 큰 흐름을 보였습니다.

    2020년 DRAM 수요는 2019년 대비 약 22% 성장하였으며 특히 서버 응용 제품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2021년에는 비대면 산업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2020년 대비 약 1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경기회복에 따른 스마트폰 및 데이터센터의 서버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부문 사업에서 코로나19(COVID-19)의 세계적 유행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과 업체 간 경쟁 심화 등으로 시장 내 불확실성이 증가하여, 당사 주력 제품인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의 2020년 시장 규모는 15.5억대(TFT-LCD 11.0억대, OLED 4.5억대) 수준이었습니다. 


    2021년 스마트폰용 OLED 패널 시장은 6.0억대 수준으로 예상되며, 5G 스마트폰의 성장과 함께 지속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최고의 기술력과 생산라인을 가지고 있으며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고의 기업임을 부정 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주가는 5만원대에서 순식간에 10만원대까지 상승하 였으며 현재는 8만원 초반대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시 유의 하여 장기투자인지 단기 투자인지 아니면 가치투자로 배당금 수령을 목표로 할 것인지 정확히 분석 후 진입하여야 할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