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업분석] 한화솔루션 목표 주가 전망 기업개요 및 사업내용 분석 수소차 태양광 신재생에너지 테마주
    2 2021. 3. 30. 05:31
    반응형

    1. 한화솔루션 기업 요약

    시가총액    / 9조 3,153 억원

    목표 주가 / 66,545 원

    상장주식수 / 191,278,497

     

     

    한화솔루션은 1965년 8월 설립된 한국화성공업을 전신으로 하여 1974년 4월 한양화학지주(주)를 설립하였으며 1974년 6월 한국거래소에 상장 되었으며 2020년 1월 사명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한화솔루션은 가성소다, PVC, LLDPE 등의 합성수지 및 기타 석유화학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할 예정이다.

     

    2. 한화솔루션 주요 현황, 기업의 개요 및 전망

    개요

    한화솔루션은 동일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의 종합 화학기업이다.

     

    PE에서 PVC, CA 등 일관된 생산체계를 구축한 종합화학기업으로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과 유통업 및 부동산업, 태양광 사업 등을 영위하는 종속기업들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 LDPE 시장의 약 29%와 PVC 시장의 약 49%를 점유, 가성소다도 50%를 상회하는 점유율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며 태양광 부문은 셀 생산규모 기준 세계 1위이다.


    PVC의 기능을 향상한 CPVC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울산2공장에 연산 3만t 규모 제조 설비를 구축, 수소첨가수지 사업 진출을 위해 2019년 완공하여 생산 중에 있다.

     

    현황 및 전망

    현재 마진율 향상에 따른 수익률 향상이 예상된다.

     

    하지만 COVID-19 확대로 위생, 의료, 포장재 등의 소비가 늘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원료부문의 매출 및 태양광 수주는 늘었으나, 유통업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원료사업부문의 단가인상에 따른 마진율 향상 및 원가율 개선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하였으며, 기타영업외수지 증가 등으로 순이익률 역시 향상되었다.


    또한 중국의 주거용 건물에 대한 수요확대 및 유럽, 미국 등의 건설산업 회복세로 PVC 수출증가, 태양광 수주확보 등으로 성장세 기대되며, 수익성 역시 상승세가 전망된다.

     

    3. 재무요약 및 주주 현황 목표주가

    4. 한화솔루션 사업의 개요 및 내용 

    한화 솔루션과 이하 종속기업은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원료부문(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그리고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등), 가공부문(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한화컴파운드(주) 등), 유통부문((주)한화갤러리아,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등), 태양광부문(한화솔루션(주) 태양광부문, Hanwha Q CELLS Co.,Ltd 등), 기타부문((주)한화도시개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원료부문

    석유화학산업은 세계 경기 및 수급 상황에 따라 호황과 불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기 순환형 산업으로 점진적으로 성장하는 세계 경제와 더불어 향후에도 성장이 기대되고 있는 사업입니다.

     

    2) 가공부문

    경량복합소재 : 

    자동차산업의 경우 연비규제에 따른 차량 경량화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감성품질 증대, 부품 고급화 및 전자화의 일환으로 NVH(소음,진동) 소재와 전열/전기전도성 소재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향후 빠른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초경량/고강도 부품소재에 특화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한화솔루션 가공부문은 다양한 경량화 부품소재들을 국내뿐 아니라 해외 현지 생산체계를 구축하여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또, 산업용소재는 친환경/고품질/고물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당사 가공부문은 건축/전자/자동차 등 다양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을 토대로 고객이 원하는 기초소재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능소재 : 

    전자소재의 주타겟인 휴대폰 시장은 국내 휴대폰기업이 프리미엄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보급형 스마트폰, 태블릿PC를 꾸준히 출시하며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성장세속에 중대형기기(노트북, 컨버터블 PC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전자소재 사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리고 에너지 분야인 태양광 시장은 미국 및 영국 그리고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몇 년간 급부상한 중국 시장은 최근 발표된 중국의 Distributed Power system 시장에 대한 지원책에 의해 판매량 증대가 기대되며, 이러한 태양광 에너지시장 확대로 태양광소재 산업은 지속적 확대 및 성장이 예상됩니다.

    3) 유통부문

    백화점 산업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20년 전년 동기간 대비 -9.9%[통계청 소매업태별 판매액 (추정) 기준]의 역신장을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안정적 수요확보와 외형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지만 아직은 시기 상조 인것 같습니다.

     

    4) 태양광 부문

    현재 글로벌 태양광 시장은 2020년 코로나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22% 상승하여 134GW수요를 기록하였고, 각국의 저탄소 정책에 기반하여 태양광 수요는 매년 5%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여 25년에는 187GW의 수요가 예상됩니다.

     

    그리고 또한, 2050년 글로벌태양광 설치량은 7.6TW에 도달하여 글로벌 에너지 믹스 중 2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019년~2050년 중 태양광 산업향 신규 투자 규모는 약 U$4.2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