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업분석] SK하이닉스 목표주가 기업 분석,개요 및 실적 현황
    2 2021. 3. 28. 22:37
    반응형

    1.SK하이닉스 기업 개요

    SK하이닉스는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됐고,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최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뀌면서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SK하이닉스의 주력 생산제품은 DRAM, 낸드플래쉬,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2007년부터 시스템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 하였다.

    2020년 10월 인텔의 NAND사업 양수를 결정하였고 현재는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은 D램 29.4%, 낸드플래시 12.2%를 점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SK하이닉스는 SK그룹 산하 SK텔레콤이 하이닉스반도체를 인수하여 2012년 3월 SK하이닉스로 출범시킨 메모리반도체 전문 생산 기업으로 경기도 이천시와 충청북도 청주시, 중국 우시와 충칭에 생산공장을 설치 및 가동하고 있으며, 다수의 해외 판매법인과 사무소를 두고 있다.

     
    현재 SK하이닉스의 주력 생산 제품은 DRAM, NAND Flash 및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이며, 시스템 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하여 종합반도체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하이닉스 주요 주주 현황

     

     


    2. 기업의 현재 현황 및 전망

    현재 하이닉스는 재택근무, 원격수업 등에 따른 관련 메모리의 수요 호조와 미국 제제를 앞둔 화웨이의 수주 증가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증가 하였다.

     

    그리고 현재 외형 신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 외화환산이익 감소 및 법인세비용 증가 등에도 순이익률 상승하였다.


    또한 COVID-19 장기화에 따른 언택트 관련 IT 수요 증가세와 인텔의 낸드사업 인수를 통한 시너지 효과, 메모리 가격의 상승 전환 등으로 외형 성장 및 수익성 향상 가능할 듯 보인다.

     

    하이닉스 재무재표 요약

    하이닉스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자산총계, 부태총계, 자본총계, PER, PBR 등

    재무재표 하이닉스


    3. SK하이닉스의 사업 살펴보기

    ㄱ.산업의 특성 및 업계 현황

    반도체는 모든 IT제품의 필수불가결한 핵심 부품으로서, 컴퓨터를 비롯해 통신장비 및 통신시스템, 자동차, 디지털 가전제품, 산업기계 그리고 컨트롤 시스템 등 그 적용 분야가 매우 광범위 합니다. 시장 조사기관인 가트너(Gartner, 2019년 7월, 금액기준)에 따르면, 지난 2018년도 세계 반도체 시장규모는 US$4,746억에 이르렀으며, 이 중 메모리 제품은 US$1,628억의 시장규모로 전체 반도체 시장의 약 34% 수준에 달하였습니다. 

     

    메모리 제품 중 DRAM은 전체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약61%를 차지하는 약 US$999억을 기록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낸드 플래시가 약 US$580억으로 약36%, 기타 메모리가 약 US$50억으로 약3%의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ㄴ.사업의 종류-메모리반도체 사업

    ▶[낸드플래시(NAND Flash)] 
    최근 낸드플래시 수요는 최첨단 IT 기기 및 다양한 소비자 가전에서의 채용률 및 채용량 확대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과거에는 플래시카드, USB 드라이브, MP3 플레이어, PMP 등이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주요 수요처였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분야에서 멀티 미디어 기능의 확대에 따른 채용량 증가로 낸드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TV, 스마트 카 등의 신개념 도입으로 인하여 과거에 저 용량의 낸드플래시 메모리만 사용했던 분야에서도 고 용량 낸드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낸드플래시를 기반으로 한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Storage Solution이 노트북은 물론이고 서버 시장에서도 주요 제품군으로 자리잡고 있어, 향후 낸드플래시 메모리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DRAM]
    피씨 메모리(PC Memory)는 다양한 요소로 인해 꾸준한 수요 증가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피씨 고객군별로는, 2020년 1분기 윈도우7 지원 종료로 인해 기업향 윈도우10 피씨 수요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며 교육용으로는 저렴한 가격 및 다양한 교육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크롬북(Chromebook)의 판매 지속이 전망됩니다.

     

    제품군별로는, 고사양 게임을 즐기기 위한 사용자 증가로 게이밍 피씨(Gaming PC)가 작지만 확고한 위치를 자리잡아 가고 있습니다. 또한 더욱 가볍고, 오래가며, 사용자 편리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울트라북(Ultrabook)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 소비자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많은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피씨향 수요는 유지되고 있으며, 게이밍 피씨와 울트라북의 평균 메모리 탑재량이 점차 높아지고 있어 지속적인 피씨 메모리 수요 증대를 이끌고 있습니다. 

     

    [CIS(CMOS Image Sensor)]

    CIS는 모바일 폰, 노트북, 태블릿,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서 필름 역할을 하는 반도체 소자이며,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약 10.4%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